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대여금

사건번호:

93다36097, 36103

선고일자:

199403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법 제380조 소정의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의 의미

판결요지

상법 제380조가 규정하고 있는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은, "주주총회의결의"라는 주식회사 내부의 의사결정이 일단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와 같은 의사결정을 위한 주주총회의 소집절차 또는 결의방법에 중대한 하자가 있기 때문에 그 결의를 법률상 유효한 주주총회의 결의라고 볼 수 없음을 확인하는 판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고, 주식회사와 전혀 관계 없는 사람이 주주총회의사록을 위조한 경우와 같이 주식회사 내부의 의사결정 자체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는 판결도 상법 제380조 소정의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법 제190조를 준용하여서는 안된다.

참조조문

상법 제380조, 제19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8.18. 선고 91다14369 판결(공1992,2730), 1992.9.22. 선고 91다5365 판결(공1992,2950), 1993.3.26. 선고 92다32876 판결(공1993상,1296)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 피상고인 청릉산업 주식회사 【피고(반소원고)】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6.4. 선고 92나21700(본소),21717(반소)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반소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상법 제380조가 규정하고 있는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은, "주주총회의 결의"라는 주식회사 내부의 의사결정이 일단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와 같은 의사결정을 위한 주주총회의 소집절차 또는 결의방법에 중대한 하자가 있기 때문에 그 결의를 법률상 유효한 주주총회의 결의라고 볼 수 없음을 확인하는 판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함이 상당하고, 주식회사와 전혀 관계 없는 사람이 주주총회의사록을 위조한 경우와 같이 주식회사 내부의 의사결정 자체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는 판결도 상법 제380조 소정의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법 제190조를 준용하여서는 안된다고 할 것이다(당원 1992.8.18. 선고 91다39924 판결 참조).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1이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회사의 주식을 양수한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고 회사의 주주인 양 타인과 공모하여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여 자신을 청산인으로 선임하는 결의를 한 것처럼 주주총회의사록을 임의로 작성하고 그 변경등기를 한 후 원고 회사의 청산인으로 행세한 사실과 그 후 위 임시주주총회결의가 부존재함을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원고 회사와 전혀 관계 없는 위 소외 1이 주주총회의 외양을 갖추고 그 의사록을 위조하는 등으로 원고 회사 내부의 의사결정 자체가 아예 존재하지 아니하였음을 확인한 위 주주총회부존재확인판결에 상법 제190조를 준용할 여지는 없다는 이유로 위 소외 1이 위 판결 확정 이전에 원고 회사의 청산인 자격으로 금원을 차용하면서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한 이상 상법 제380조, 제190조에 따라 원고와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만 한다)들 사이에 위 확정판결 이전에 발생한 권리의무관계에 소급하여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원심의 인정판단은 위와 같은 당원의 견해에 따른 것으로서 옳게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상법 제380조, 제190조 단서에 규정된 주주총회결의부존재확인판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한편 논지는 불실의 등기에 관한 상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하더라도 원고 회사는 선의의 제3자인 피고들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여야 한다는 취지로도 주장하나, 이는 원심에 이르기까지 주장하지 아니하다가 당심에 이르러 비로소 주장하는 것이어서 원심판결에 대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김상원 박만호 박준서(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주명부 기재와 주주총회 결의 효력에 관하여

주주명부에 적법하게 기재된 주주만이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회사는 주주명부 기재의 형식적 요건만 심사할 의무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주주에게 소집통지 없이 열린 주주총회 결의는 무효이다. 존재하지 않는 결의에 대한 부존재 확인 소송은 확인의 이익이 없어 각하된다.

#주주명부#주주권#주주총회#소집통지

민사판례

주주총회, 제대로 열렸을까? 소집절차의 중요성과 주주의 권리

노동조합의 주주총회 방해로 인해 밤늦게 장소를 바꿔 진행된 국민은행 주주총회 결의는 소집절차가 불공정하여 무효라는 판결.

#국민은행#주주총회#결의취소#소송

민사판례

해임된 이사, 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 - 주주총회 결의 무효확인 소송 이야기

이사가 해임된 후 선임된 후임 이사의 선임 결의가 무효인 경우, 해임된 이사는 자신의 해임 결의에 대한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사 해임#후임 이사 선임 무효#해임 무효 확인 소송#소의 이익

상담사례

대주주 맘대로? 소수주주 권리 지키기!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대주주가 소수주주에게 통지 없이 혼자 주주총회를 열고 결의한 경우, 해당 결의는 효력이 없으며(부존재),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소송을 통해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소수주주#대주주#주주총회#부존재 확인 소송

형사판례

주주총회 결의에 하자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범죄인가요?

주주총회 소집 절차에 하자가 있어 결의를 취소할 수 있다고 해도, 그 결의에 따라 등기한 사실 자체는 진실이므로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주주총회#결의취소#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소집절차하자

민사판례

위조된 주주총회 의사록, 회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회사와 전혀 무관한 사람이 주주총회 의사록을 위조하여 이루어진 등기는 주주총회 결의 부존재 확인 판결의 효력 제한 규정(상법 제190조, 제380조)이 적용되지 않아 무효이다.

#위조 의사록#등기 무효#상법 제190조#상법 제380조